본문 바로가기

Airsoft Gun/Accessories

사파리랜드 6354DO ALS 홀스터

Safariland

6354DO ALS Tactical Holster

with QLS19 Fork



※ 본문에 등장하는 총기는 컬러파트 및 규정탄속을 준수하는 에어소프트건(장난감총)입니다.
건전한 취미, 레저 활동을 지향합니다.


너무나도 유명한 전술 홀스터이다.

멀티캠 컬러에 글록 17-22 optic 슈어파이어 x300 사양이다.

멀티캠 원단 질감이 고급스럽다.


삽입구 모습이다.


안쪽에는 홀스터 사양이 인쇄되어 있다.


QLS19 포크가 기본 장착되어 QLS22가 장착된 다양한 플랫폼 어디든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에어소프트건 호환 확인을 위한 첫 번째 GBB 글록으로 본 홀스터 사양에 맞는 글록17 gen5 mos이다.

VFC 베이스에 스틸슬라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글록17 용 홀스터임에도 글록17 가스건은 바로 삽입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사진에 표기한 총구마개 때문이다.

해당 총구마개는 실총용이라 (국내법규에 따른) 컬러파트까지 장착된 에어소프트건에는 맞지 않는다.

글록17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총구마개를 제거하거나 가공해야 한다. 제거하는 방법을 택한 경우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 x300 라이트를 장착 후 삽입하는 것이 좋다.

본인은 애초에 글록17이 아닌 글록19용으로 이 모델을 선택했다. 19용을 구입하지 않은 이유는 총구마개를 가공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서다.

단, 글록19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슈어파이어 x300라이트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x300 없이 그냥 삽입했다가는 공간이 많이 남아 과삽입 문제로 홀스터가 파손될 수 있다.

라이트 없이 수납하는 방법도 있긴 한데 총구마개 쪽에 단단한 스펀지를 적당한 크기로 재단해 부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19를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과삽입되지 않는다.


두 번째 모델은 가더 글록19 gen3이다.

마루이 베이스지만 순정 부속 없이 옵션만으로 제작된 글록이다.

스틸 슬라이드 사양이며 x300 라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아주 딱 맞게 장착되며 뒤집어 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좌우 유격은 타이트한 편이고 상하로는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다.


총기를 사용할 때는 고정 레버를 눌러서 빼준다.


세 번째 모델은 가더 글록19 gen4이다.

역시나 풀스틸 모델이며 세대만 다를 뿐 젠 3과 거의 동일한 유격으로 장착된다.


네 번째 모델은 VFC 글록19 gen4 순정이다.

위 2개의 가더 글록과 비교했을 때 좌우 유격이 좀 있는 편이다.

대한민국 땅에서는 실총을 넣어볼 수 없으니 어떤 유격이 정확한 것인지 모르겠다.


다섯 번째 모델은 VFC 글록19 gen3 순정이다.

위 젠4와 마찬가지로 좌우 유격이 꽤 있다.

상하유격은 가더모델, VFC 모델 모두 비슷하다.


마지막 테스트 모델은 VFC 기반 MK27 Mod2 (글록19 젠4) 스틸 슬라이드 버전이다.

소음기가 달린 상태로는 당연히 수납이 안 된다.


이렇게 소음기가 제거된 상태로 수납을 해보겠다.


글록19 사이즈라 당연히 될 줄 알았는데 총구 마개에 컬러파트가 걸린다.

스레드+캡 방식의 바렐이라 너무 길어서 그런 듯하다.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총구마개는 제거하는 것이 나을 듯싶다.